고체비누를 만들때는 가성소다 액체비누를 만들때는 가성가리를 사용한다. - 오일마다 비누가 되는데 필요한 가성소다 또는 가성소다의 양이 있는데 이를 비누화값 이라고 한다.- 가성가리(KOH)는 물비누,폼클렌저, 주방용세제,샴푸 등을 만들때 사용한다. - 가성소다(NAOH)는 투명비누,고체비누 등을 만들때 사용한다.- 가성소다나 가성가리를 구입할때는 불순물이 없는 시약용을 쓰는게 좋다.- 시약용은 분진이나 이물질이 적고 순도가 높으므로 비누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일반적인 제품보다는 시약용을 쓰는게 좋다.- 제품은보통 타입은 후레이크 타입과 파우더 형태가 있는데 파우더 형태는 비누를 만드는 과정에서 가루가 날리면 호흡기로 들어 갈 수 있으니 최대한 입자가 큰 제품으로 구입한다. 각 오일의..
비누화값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비누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를 오일 1g그램을 비누로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의 양을 계산할때 오일마다 필요한 양이 다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식물성오일이나 동물성유지가 가성소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비누화가 되면 오일고유의 특성은 사라지고 지방산을 남기는데 이 지방산이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비누입니다. 비누를 만들때 사용되는 오일의 비누화 값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가성소다의 양을 계산을 잘 못 하거나 적거나 많게 되면 비누의 품질이 떨어지고 비누화반응을 충분히 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누안에 미반응 가성소다를 남기거나 아예 실패로 돌아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비누재료 업체들 마다 비누화값 계산기가 ..
썬크림에는 sp f와 pa값 즉 자외선 b와 a를 차단하는 지수값을 내기 위해 자외선 차단 원료를 사용 합니다. 자외선 차단 원료사용에 있어서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만 사용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사 있습니다. [유기농도 있기는 있음 ^^] 최근 썬크림 제품중에는 일반제품과 달리 유기계 자외선 차단원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들도 출시되고 있지만 실리콘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화장품의 경우 전성분이 1%미만인 경우는 순서에 관계없이 표기하지만 1%보다 많으면 함량 순서대료 표기해야 한다고 합니다. 즉 정제수 바로뒤 자외선 차단제 원료인 티타늄옥사이드나 징크옥사이드 뒤 실리콘류가 있다면 실리콘 함량이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렇듯 썬크림에 실리콘..
몇년전부터 가성소다에 대해서 말이 많다보니 식품용가성소다를 사용해서 더 안전하다고 하길래비교해 보시라고 몇자 적어봅니다. 일반 가성( 소다)purity 98% up -순도 na2co3 2% max - 탄산나트륨-탄산소다 nacl 0.15% max - 염화나트륨 (식용소금) fe2o3 0.005% - 철2개 산소3개의 전하가 같으므로 (철의 산화수 +3) 과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성(소다)와 식품용 가성(소다)를 비교했을때 더 안전한 성분이 들어 있을까요? 식품용 가성(소다)purity 98% up -순도 na2co3 2% max - 탄산나트륨-탄산소다 arsenic (as2o3) 4ppm max - 계관석이나 웅항 또는 비소라고 함 heavy metal (pb) 30ppm max - 중금속 hg 0.1..
- 소형엠프
- 체불임금신고방법
- 식물공장
- 보석비누
- POSTINOR
- 퇴직연금dc형db차이점
- 피임약처방전
- 합성계면활성제
- 비누화값
- 티스토리 구글번역기
- Mp Soap Marble
- 비누만들기
- MP CRYSTAL SOAP
- 스테아르산
- mp soap making
- 태국피임약
- 체불임금신고
- 사이드바 구글번역기
- MP SOAP
- 올리브비누
- 아이포포나
- 셀레늄
- 크리스탈비누
- mp비누만들기
- mp비누
- 천연비누
- 피임약구매
- mp soap swirling
- 로즈힙
- 비누화